![](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nbnjD/btqGZIj1BLf/zCpcD4rrhKNLp7rNzK98U0/img.png)
예전에 스터디에서 발표자료로 만들었던 피피티를 발견해서 블로그에 공유 해보려 한다. 발표 자료로 사용하던 내용을 그대로 가져와 서체가 사용자 친화적이 아닙니다. WebRTC는 피어 간 고품질 오디오 / 비디오 / 데이터 전송을 제공하는 데 사용할 수있는 피어 투 피어 연결 프레임 워크입니다. 모바일 플랫폼의 경우 피어 연결 기본 라이브러리를 포함시켜야 작동합니다. 1. PeerConnection의 작동방식 2. STUN / TURN / ICE 및 기타 정보 P2P? Peer to Peer -> 간단히 말해 WebRTC를 사용하면 외부 서버 컴퓨터없이 오디오 / 비디오 스트림을 다른 피어와 직접 공유 할 수 있습니다. peer는 네트워크에 연결된 장치 -> 피어간 데이터 공유는 연결된 네트워크에서 허용된 ..
CS(Computer Science)/기타
2020. 8. 20. 16:58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Android
- 안드로이드
- Kotlin
- Hummingbird
- Android Studio
- flame
- RecyclerView
- springboot
- 해결
- 에러해결
- 플러터
- CHANNELS
- WAS
- DART
- django server
- Django
- 알고리즘
- Tutorial
- node.js
- 안드로이드스튜디오
- 코틀린
- 에러
- mysql
- chatting
- Git
- socket.io
- flutter
- password
- redis
- github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