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평소에 안드로이드 앱개발을 하면서 내 스마트폰과 컴퓨터에있는 에뮬레이터에 동시에 제작된 어플을 띄워놓고 화면녹화나 작업을 할때 가 있다.
윈도우에서는 보통 내장된 미러링 프로그램을 사용하거나 모비즌을 이용해 화면공유를 했지만 이번에 맥북으로 옮겨오면서 내장된 프로그램이 따로 있나 서칭을 하던중 괜찮은 프로그램이 있어서 소개를 해보려 한다.
그것은 바로 scrcpy라는 프로그램이다. [Github : https://github.com/Genymobile/scrcpy]
Genymobile/scrcpy
Display and control your Android device. Contribute to Genymobile/scrcpy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github.com
맥에 brew가 깔려있지 않다면 터미널에서 먼저 아래의 스크립트를 복사 붙여넣기 해서 brew를 다운받길 바란다.
$/usr/bin/ruby -e "$(curl -fsSL https://raw.githubusercontent.com/Homebrew/install/master/install)"
위코드는 MacOS의 패키지 관리자인 brew를 설치하기 위한 코드이다.
brew의 설치가 완료되었다면 이어서 아래의 순서에 따라 코드를 입력해준다.//상당히 오래걸린다.
$ brew install scrcpy
$ brew cask install android-platform-tools
이후 안드로이드 디바이스에서 개발자모드를 켜주고 아래와같은 코드를 입력해주면 완료된다.
$ scrcpy
정상적으로 실행이 된다면

이렇게 깔끔하게 화면이 공유된다.
그러나 혹시 에뮬레이터 등 여러개의 디바이스가 연결이 되어있을경우 에러가 뜰수도 있다.
그럴때는 아래와 같이한다.
$ adb devides
위 코드로 디바이스들의 목록을 확인하고 아래의 코드를 사용해서 원하는 디바이스를 공유한다.
$ sercpy -s {divice name}
- Total
- Today
- Yesterday
- flutter
- springboot
- mysql
- WAS
- Git
- 코틀린
- django server
- 에러
- 안드로이드스튜디오
- DART
- Android
- 안드로이드
- Tutorial
- password
- Kotlin
- 에러해결
- 해결
- Hummingbird
- 알고리즘
- github
- CHANNELS
- 플러터
- RecyclerView
- node.js
- Android Studio
- socket.io
- redis
- Django
- flame
- chatting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