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뮬레이티드 어닐링(Simulated Annealing) 알고리즘으로 대학원생 친구 구원해주기
약 2달 전쯤 친구들이 모여있는 단톡방에서 포스텍 박사과정을 진행중인 친구가 여느때와 같이 우는소리를 하기 시작했습니다. 얘기를 들어보니 자기가 하는 연구가 대충 단백질 만드는거라는데 만들어진 단백질의 분자량만 가지고 그 단백질을 구성하는 아미노산들의 조합을 뽑아보고 싶다는겁니다. 저런 화학지식에 대해 아는게 전혀없는 저에게는 뭔소린가 싶었지만 설명을 듣다보니 생각보다 할만하다? 라는 느낌이 들었습니다. (물론 처음에 말한 조건과 나중에 말한 조건이 달라서 낭패를 보긴했습니다.. ) 조건은?처음에 저한테말해줬던 조건은 1. 단백질 분자량 약 500~ 10000 정도의 값을 입력할 수 있어야한다. (double 값) 2. 아미노산의 종류와 각 분자량은 이미 20개 정도로 정해져있다. 3. 필수로 들어가는 ..
CS(Computer Science)/기타
2023. 12. 2. 22:53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password
- Kotlin
- socket.io
- flame
- WAS
- 해결
- Android Studio
- Git
- django server
- RecyclerView
- flutter
- redis
- github
- mysql
- Hummingbird
- Android
- 코틀린
- node.js
- chatting
- DART
- 플러터
- springboot
- 안드로이드스튜디오
- 알고리즘
- 안드로이드
- Django
- Tutorial
- CHANNELS
- 에러해결
- 에러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글 보관함